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호스팅케이알 티스토리 하위도메인 연결 방법 상세 정리

by 인포 꾸러미 2025. 7. 1.
반응형

호스팅케이알 티스토리 하위도메인 연결 방법

 

호스팅케이알 티스토리 하위도메인 연결 방법에 대해 상세히 안내해 드립니다. 호스팅케이알 외에 가비아, 후이즈, 고대디, 카페24 등의 다른 사이트에서 구입한 도메인이어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2차 도메인에 먼저 승인을 받고요. 이후에 하위도메인을 만들면 추가로 승인을 받지 않아도 됩니다. 그런데 하위도메인 연결 작업을 처음 해보려니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데요. 알고 보면 매우 간단한 작업니다. 이 글의 내용 그대로 따라하시면 됩니다.

1. 호스팅케이알로 이동

 

도메인을 구입한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저는 호스팅케이알에서 구입했기에 여기로 이동해서 로그인했습니다. 우측 상단의 [나의 서비스]에서 [도메인]을 클릭합니다.

 

 

내가 구입한 도메인의 목록이 뜹니다. 하위 도메인을 만들고자 하는 도메인을 클릭합니다.

 

 

연락처 옆의 [네임서버/DNS]를 클릭합니다.

 

 

아래쪽에 [DNS/레코드 관리]라는 것이 보입니다.

 

여기서 '+새 레코드 추가' 이 부분을 클릭합니다. 오른쪽의 ▼ 부분 말고 '+새 레코드 추가'라고 적힌 부분을 클릭하면 됩니다.

 

 

그러면 새로운 칸이 생성됩니다. 여기에 아래와 같이 입력하면 됩니다.

 

 

유형 : CNAME을 선택합니다.

호스트 이름 : 내가 원하는 하위 도메인 이름을 입력합니다. 저는 ez라고 입력했습니다.

값 : host.tistory.io 라고 입력합니다.

TTL : 600을 입력한 후 오른쪽의 체크 표시 부분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위와 같이 하위 도메인이 바로 생성됩니다.

2. 티스토리 블로그로 이동

 

이제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좌측 하단의 [관리]-[블로그] 메뉴를 클릭합니다.

 

 

아래로 내리면 [개인 도메인 설정]이라는 부분이 있습니다. 우측의 '도메인 연결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개인 도메인 설정' 화면이 뜹니다.

 

 

여기에 조금 전에 호스팅케이알에서 만들었던 하위 도메인을 입력합니다. 입력한 후에는 아래의 '변경사항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개인 도메인 설정' 부분에 DNS 설정 정보 칸에는 확인 완료라고 뜨지만 보안 접속 인증서 칸은 아직 비어 있습니다.

 

 

화면을 새로 고침 하면 '발급 대기 중'으로 바뀝니다. 이 상태에서 기다리면 됩니다.

 

 

한두 시간 정도가 지나자 '발급 완료'로 바뀌었습니다. http도 https로 바뀌었습니다. 이제 티스토리에 하위도메인을 연결하는 작업이 완료되었습니다!

 


하위도메인 연결 작업이 다 완료되었다면 네이버, 구글, bing 등의 사이트에 하위도메인을 등록하면 됩니다. 이후 글을 꾸준히 작성해 나가시기 바랍니다.

반응형